채권의 정의
채권은 정부, 기업, 금융기관 등이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이다.
더 쉽게말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서'이다.
내가 채권을 매수할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이자를 받다가 만기에 원금을 돌려받는다.
채권 vs 적금 차이점
채권과 적금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구분
|
채권
|
적금
|
개념
|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 이며, 채권을 매수하면 일정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이자를 받고, 만기 시 원금을 돌려 받음
|
은행 등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저축 상품으로, 정해진 기간 동안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고 만기 시 원금과 약정된 이자를 받음
|
이자 지급 방식
|
일정 주기(3개월, 6개월, 1년) 마다 지급
또는 만기 일괄 지급 |
만기 일괄 지급
|
원금 보장
|
❌ 손실 가능
- 회사채(기업발행)의 경우 부도 발생 시 원금 전액을 잃을 수 있음 - 국채, 지방채, 특수채의 경우 부도 가능성 없음(원금 보장됨) |
⭕ 원금 보장
- 단, 금융기관이 부도날 경우 1인 당 최대 5,000만원까지 원금과 이자 보장 |
수익률
|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 적금보다 높은 수익 가능
|
가입 시 정해진 고정 금리, 일반적으로 시장금리 보다 낮음
|
중도 해지
|
장내·장외시장에서 매도 가능 (가격 변동 있음)
|
중도 해지 가능하지만 이자율 낮아짐
|
투자 목적
|
적금보다 높은 수익
|
안정적인 수익
|
적금은 원금이 보장되고 안정적이지만, 금리(2~3%)가 낮아서 인플레이션을 이기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적금으로 모은 돈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채권은 적금보다 금리가 높고, 물가 상승을 어느정도 이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의 표에서는 채권 투자를 통해 원금 손실이 가능하다고 적어 놓았지만, 채권 중 정부에서 발행한 채권(국채, 지방채, 특수채)에 투자한다면 원금이 보장된다.
따라서 많은 투자자들이 채권을 통해 자산을 보호하고 더 높은 수익을 얻으려고 하고 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 돈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한다"
쉽게 말해,
오늘 100원으로 사탕 1개를 살수 있다.그런데 내일 물가가 올라 사탕이 110원이 됐다.
그럼 물가 상승으로 인해 100원으로는 사탕 1개를 살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물가가 오르면 100원의 가치가 떨어져서, 예전처럼 같은 양의 물건을 살 수없게 된다.
결국, 실질 구매력이란 내가 가진 돈으로 살 수 있는 양을 말하는데,
물가가 상승하면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게 된다.
[ 채권 기초 ] 1. 채권의 정의, 적금과의 차이
채권의 정의 채권은 정부, 기업, 금융기관 등이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이다.더 쉽게말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서'이다.내가 채권을 매수할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dongjinc.tistory.com
[ 채권 기초 ] 2. 채권의 종류, 표면금리, 이자지급주기
발행 주체에 따른 채권 종류 채권은 발행 주체에 따라 크게 국채, 공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여전채 등으로 나뉜다.채권의 안정성은 발행 주체의 신용도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국채,
dongjinc.tistory.com
[ 채권 기초 ] 3. 채권의 콜(CALL) 옵션과 풋(PUT) 옵션
채권에는 콜(CALL) 옵션과 풋(PUT) 옵션이 있다.이 옵션은 수익률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꼭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콜(CALL) 옵션 - 발행자의 조기상환 권리콜 옵션은 채권 발행자(회사)가 상환일 전
dongjinc.tistory.com
[ 채권 기초 ] 4. 기업의 신용등급, 연간부도율, 평균누적부도율
기업의 신용등급 기업의 신용등급은 기업이 '부도'날 가능성을 평가해 신용 위험 수준을 나눈 뒤, 비슷한 위험도를 가진 기업들을 같은 등급으로 표시한 지표이다. 부도- 아래 두 사건 중 하나
dongjinc.tistory.com
[ 채권 기초 ] 5. 실전 투자 - 키움 HTS를 활용한 채권 매수
키움 HTS 화면 구성 키움 HTS에서 채권 매수, 매도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해보자. ▼키움 HTS를 실행 한 후 왼쪽 상단에서 화면 번호를 입력하거나, 'ELS/ELB/채권' 탭에서 장내채권의 [1545], [1549], [1541
dongjinc.tistory.com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채권 기초 ] 5. 실전 투자 - 키움 HTS를 활용한 채권 매수 (0) | 2025.03.05 |
---|---|
[ 채권 기초 ] 4. 기업의 신용등급, 연간부도율, 평균누적부도율 (0) | 2025.02.23 |
[ 채권 기초 ] 3. 채권의 콜(CALL) 옵션과 풋(PUT) 옵션 (0) | 2025.02.21 |
[ 채권 기초 ] 2. 채권의 종류, 표면금리, 이자지급주기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