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 기초 ] 5. 실전 투자 - 키움 HTS를 활용한 채권 매수
키움 HTS 화면 구성 키움 HTS에서 채권 매수, 매도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해보자. ▼키움 HTS를 실행 한 후 왼쪽 상단에서 화면 번호를 입력하거나, 'ELS/ELB/채권' 탭에서 장내채권의 [1545], [1549], [1541],[1546] 화면을 열면된다. 채권 정보 확인 채권 매수 전, 채권에 대한 정보를 먼저 확인해야한다. ▼[1546] 장내 채권 거래량 상위거래량 항목을 클릭하면 거래량 순으로 채권이 정렬된다.거래량이 높은 채권을 매수하는 것이 좋다 → 유동성이 높아 매수, 매도가 용이하고, 가격 변동성도 적어 안정적인 투자에 유리하다.거래량이 낮은 채권을 매수하는 것은 좋지 않다 → 유동성이 낮아 매수, 매도가 어렵고, 가격 변동성이 크다.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거래량이 낮은 채권은 ..
2025. 3. 5.
[ 채권 기초 ] 2. 채권의 종류, 표면금리, 이자지급주기
발행 주체에 따른 채권 종류 채권은 발행 주체에 따라 크게 국채, 공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여전채 등으로 나뉜다.채권의 안정성은 발행 주체의 신용도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국채, 공채, 특수채가 가장 안전한 채권으로 평가된다.국채, 공채, 특수채는 일반적으로 부도 위험이 낮고, 안정적인 투자처이다. 분류발행 목적발행 주체종류국채국가 재정 조달, 외환시장 안정화 등정부국고채, 외국환평형기금채권, 국민주택채권지방채지역 개발, 사회간접자본 확충지방자치단체지역개발채권, 도시철도채권특수채공공사업 자금 조달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특수법인한국전력공사채, 도로공사채, 예금보험공사채 등금융채금융시장 안정화, 기업·소비자 금융 지원한국은행,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기타 은행 및 여신전문금융회사 등통화안정증권..
2025.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