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D프린터 강좌28 3D프린팅 방식② - SLA란? 3D프린팅 방식② - SLA란? ▼ 지난시간에 SLS의 3D프린팅 방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https://dongjinc.tistory.com/269 3D프린팅 방식① - SLS란?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출력 방식이 SLS, SLA, FDM, LOM 등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 SLS방식의 정의, 출력 방식, 제작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dongjinc.tistory.com 이번시간에는 SLA방식의 정의, 출력 방식, 제작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란? SLA는 광경화성 수지에 UV 레이저를 조사하여 경화시킨 뒤, 이를 한 층씩 쌓아서 만드는 3.. 2022. 12. 11. [3D프린터 문제 해결-5] 출력물의 크기가 작을경우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때 완벽하게 제품이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지금부터 출력 실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출력물의 크기가 작음 출력물의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 출력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만약 출력이 되더라도 출력물의 품질은 나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출력물의 크기가 작다면 외부힘에 취약하여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해결방법 출력물의 크기가 작을땐 1. 모델링 원본의 형상의 크기를 키워서 출력합니다. 2. 슬라이서 프로그램에서 출력물의 크기(스케일 또는 축척값)를 변경해서 출력합니다. https://www.youtube.com/cadsin 캐드신 안녕하세요. 기계설계&3D프린팅 .. 2022. 10. 13. [3D프린터 문제 해결-4] 출력물에 거미줄이 생길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때 완벽하게 제품이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지금부터 출력 실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거미줄 현상 여러 출력물 사이에 거미줄처럼 얇은 필라멘트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노즐이 이동할때 내부에 있는 필라멘트가 흘러내려서 거미줄이 생성됩니다. 거미줄로 인해서 출력물의 표면이 거칠어서 표면처리(후가공)를 추가로 실시해야합니다. ▼ 출력 실패의 원인 출력물에 거미줄이 생성되는 원인은 리트랙션 설정, 노즐의 온도, 이동 속도, 낮은 품질의 필라멘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 해결방법 거미줄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1. 리트렉션 값을 올려준다. 2. 노즐의.. 2022. 10. 6. [3D프린터 문제 해결-3] 출력물이 베드에 붙지 않을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때 완벽하게 제품이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지금부터 출력 실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출력 실패의 원인 만약 노즐과 베드의 간격이 적정하지 않을경우 출력물이 베드에 안착되지 않아 출력에 실패하게 됩니다. ① 베드와 노즐의 간격이 너무 좁을 경우 출력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노즐과 베드의 간격이 너무 좁을경우필라멘트가 넓게 펴지며 출력이 되며 두께는 매우 얇게 출력됩니다. 출력된 첫번째 층은 투명한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처럼 두께가 얇게 출력될경우 수축이 발생되어 출력에 실패하게 됩니다. ② 베드와 노즐의 간격이 너무 넓을 경우 출력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아래 .. 2022. 10. 5. [3D프린터 문제 해결-2] 필라멘트가 꼬여있어 출력에 실패할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때 완벽하게 제품이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지금부터 출력 실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출력 실패의 원인 아래의 출력물을 보면 중간정도에 단차가 발생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차가 발생한 부분을 절단해서 다시 붙이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 방법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차라리 다시 출력하는것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해결방법 출력물에 단차가 발생할 땐 타이밍밸트의 장력을 팽팽하게 조정하면 단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cadsin 캐드신 안녕하세요. 기계설계&3D프린팅 직업훈련교사 신동진입니다. 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를 달성하고 무료로 높.. 2022. 10. 4. [3D프린터 문제 해결-1] 필라멘트가 꼬여있어 출력에 실패할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때 완벽하게 제품이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지금부터 출력 실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출력 실패의 원인 필라멘트는 실타래처럼 돌돌 말려있습니다. 실처럼 생긴 필라멘트가 서로 꼬여서 묶여 있다면 익스투르더(압출기)가 필라멘트를 잡아당기지 못해서 결국은 노즐을 통해 필라멘트가 배출되지 않습니다. ▼ 해결 방법 - 꼬인 필라멘트를 풀어줍니다. ▼ 필라멘트 관리 방법 - 필라멘트를 사용한 후에는 구멍에 꽂아 관리해야합니다. 그래야지만 필라멘트가 서로 꼬이지 않습니다. https://www.youtube.com/cadsin 캐드신 안녕하세요. 기계설계&3D프린팅 직업훈련교사 신동진입니다. .. 2022. 9. 30. 3D프린팅 방식① - SLS란?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출력 방식이 SLS, SLA, FDM, LOM 등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 SLS방식의 정의, 출력 방식, 제작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란 무엇인가요? - SLS는 분말 재료를 레이저로 녹이고 굳힌 뒤, 이를 한 층씩 쌓아서 만드는 3D프린팅 방식입니다. ■ 출력 방식 ① Powder Delivery Piston이 상승하며 분말(Powder) 재료를 공급합니다. ② Roller가 회전을 하며 분말을 베드 위로 골고루 펴줍니다. ③ Laser Beam이 제품 형상에 따라 움직이며 분말을 녹입니다. ④ 제품의 한 층이 완성되면 Fabrication Piston이 하강합니다. ⑤ 다시 ①~④번이 반.. 2022. 8. 5. [3D프린터운용기능사] FDM(FFF)방식 3D프린팅 설정 - 2편(내부채움 밀도, 프린팅 온도, 빌드플레이트 온도) 4. 내부채움 밀도(Infil Density) 출처 : 교재 - 3D프린터운용기능사 실기 30시간 완성 《인벤터편》 내부채움 밀도는 제품의 출력 시간과 재료 소모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내부채움 밀도를 0%로 설정하여 속이 텅 비도록 만들 수 있으며 밀도를 10%로 설정하여 속이 꽉 차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내부채움 밀도가 낮을 경우 출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재료를 절감할 수 있지만 외부 힘에 취약합니다. 내부채움 밀도가 높을 경우 외부 힘에 강하지만 출력 시간이 길어지며 재료 소모량도 많아집니다. 일반적으로 내부채움 밀도를 20~30%로 설정합니다. 5. 프린팅 온도(Printing Temperature) 출처 : 교재 - 3D프린터운용기능사 실기 30시간 완성 《인벤터편》 일반적으로 노즐 온도.. 2021. 1. 17. [3D프린터운용기능사] FDM(FFF)방식 3D프린팅 설정 - 1편(레이어 높이, 외벽 두께, 상단·하단 두께) 01. 레이어 높이(Layer Height) 출처 : 교재 - 3D프린터운용기능사 실기 30시간 완성 《인벤터편》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FDM방식 3D프린터는 플라스틱 소재를 적층하여 제품을 출력하는 형식입니다. FDM(FF)방식의 3D프린터는 액체의 필라멘트를 한 층씩 적층하며 제품을 출력합니다. 적층 높이를 레이어 높이라고 하며 3D프린터의 사양에 따라 0.1~0.4mm(엔더3 기준)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높이는 제품의 출력 품질과 시간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레이어의 높이가 낮을수록 쌓는 층수가 많아 출력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표면의 품질은 좋습니다. 레이어의 높이가 높을수록 쌓는 층수가 적어 출력시간이 단축되지만, 표면의 품질은 나쁩니다. 따라서 출력 품질과 시간을.. 2021. 1. 17. 반응형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