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때
완벽하게 제품이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지금부터 출력 실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출력 실패의 원인
만약
노즐과 베드의 간격이 적정하지 않을경우
출력물이 베드에 안착되지 않아 출력에 실패하게 됩니다.
① 베드와 노즐의 간격이 너무 좁을 경우 출력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노즐과 베드의 간격이 너무 좁을경우필라멘트가 넓게 펴지며 출력이 되며 두께는 매우 얇게 출력됩니다. 출력된 첫번째 층은 투명한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처럼 두께가 얇게 출력될경우 수축이 발생되어 출력에 실패하게 됩니다.
▼ 해결방법
노즐과 베드의 간격은 0.1~0.2mm 정도로 맞춰주는것이 좋습니다.
이 간격은 A4용지의 두께(0.15mm)와 비슷하기 때문에
베드의 높이를 맞출때
노즐과 베드사이에 A4용지를 놓고 A4용지가 살짝 긁힐 정도로 맞춰주면 됩니다.
베드의 높이를 조절할땐
엔더3의 경우 4곳의 조절장치가 위치한 곳에 노즐을 이동시킨 후
조절장치를 회전시켜 노즐과 베드의 간격을 조정합니다.
4곳 모두 A4용지가 살짝 긁힐 정도로 간격을 조정합니다.
https://www.youtube.com/cadsin
캐드신
안녕하세요. 기계설계&3D프린팅 직업훈련교사 신동진입니다. 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를 달성하고 무료로 높은 질의 교육을 받을수 있도록 온라인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www.youtube.com
'3D프린터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프린터 문제 해결-5] 출력물의 크기가 작을경우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0) | 2022.10.13 |
---|---|
[3D프린터 문제 해결-4] 출력물에 거미줄이 생길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0) | 2022.10.06 |
[3D프린터 문제 해결-2] 필라멘트가 꼬여있어 출력에 실패할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0) | 2022.10.04 |
[3D프린터 문제 해결-1] 필라멘트가 꼬여있어 출력에 실패할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0) | 2022.09.30 |
3D프린팅 방식① - SLS란? (0) | 2022.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