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출력 방식이 SLS, SLA, FDM, LOM 등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 SLS방식의 정의, 출력 방식, 제작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란 무엇인가요?
- SLS는 분말 재료를 레이저로 녹이고 굳힌 뒤, 이를 한 층씩 쌓아서 만드는 3D프린팅 방식입니다.

■ 출력 방식
① Powder Delivery Piston이 상승하며 분말(Powder) 재료를 공급합니다.
② Roller가 회전을 하며 분말을 베드 위로 골고루 펴줍니다.
③ Laser Beam이 제품 형상에 따라 움직이며 분말을 녹입니다.
④ 제품의 한 층이 완성되면 Fabrication Piston이 하강합니다.
⑤ 다시 ①~④번이 반복되면서 여러 층을 쌓아 제품을 만듭니다.

▼ 출력 방식 영상 참고
■ SLS방식의 장점
- 분말(파우더)이 지지대(서포트)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지지대를 생성하지 않아도 제품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 출력 후 남은 분말은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의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지지대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한 번에 빠르게 출력이 가능합니다.
- 여러 부품이 조립된 복잡한 형상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 SLS방식의 단점
- 재료의 형태가 분말이기 때문에 흡입 시 유해할 수 있습니다.
- 장비와 소모품의 가격이 비쌉니다.
- 표면이 거칠어서 후처리가 필요합니다.

- 분말을 제거하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 제작 사례
- 2015년 독일의 스포츠 용품 전문기업 아디다스는 머티리얼라이즈와 협력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신발을 선보였습니다.

- 독특한 형태의 미드솔(중창)은 TPU 재질의 분말을 사용하여 SLS 방식의 3D프린터로 제작되었습니다. (TPU는 마모나 충격에 강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습니다)
- 미드솔은 격자 형태로 제작되어 신발의 무게를 줄이고, 개개인의 발의 형태에 맞춰 제작되어 최고의 쿠셔닝을 제공합니다.

머지않아 내 발에 맞는 신발을 집에서 3D프린팅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 생각됩니다.
3D프린터운용기능사 공개도면(🏅멤버십강의/❌광고제거)
www.youtube.com
'3D프린터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프린터 문제 해결-2] 필라멘트가 꼬여있어 출력에 실패할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0) | 2022.10.04 |
---|---|
[3D프린터 문제 해결-1] 필라멘트가 꼬여있어 출력에 실패할때 (FDM, FFF 방식의 3D프린터) (0) | 2022.09.30 |
[3D프린터운용기능사] FDM(FFF)방식 3D프린팅 설정 - 2편(내부채움 밀도, 프린팅 온도, 빌드플레이트 온도) (0) | 2021.01.17 |
[3D프린터운용기능사] FDM(FFF)방식 3D프린팅 설정 - 1편(레이어 높이, 외벽 두께, 상단·하단 두께) (0) | 2021.01.17 |
[3D프린터운용기능사] FDM(FF)방식 3D프린터 구조 및 원리 (0) | 2020.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