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 채권 기초 ] 5. 실전 투자 - 키움 HTS를 활용한 채권 매수

캐드신 - 영향력을 끼치는 직업훈련교사 신동진 2025. 3. 5. 13:33
반응형

 


키움 HTS 화면 구성


 

키움 HTS에서 채권 매수, 매도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해보자.

 

▼키움 HTS를 실행 한 후 왼쪽 상단에서 화면 번호를 입력하거나,

'ELS/ELB/채권' 탭에서 장내채권의 [1545], [1549], [1541],[1546] 화면을 열면된다.

 

 


채권 정보 확인


 

채권 매수 전, 채권에 대한 정보를 먼저 확인해야한다.

 

 

▼[1546] 장내 채권 거래량 상위

거래량 항목을 클릭하면 거래량 순으로 채권이 정렬된다.

  • 거래량이 높은 채권을 매수하는 것이 좋다 → 유동성이 높아 매수, 매도가 용이하고, 가격 변동성도 적어 안정적인 투자에 유리하다.
  • 거래량이 낮은 채권을 매수하는 것은 좋지 않다 → 유동성이 낮아 매수, 매도가 어렵고, 가격 변동성이 크다.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거래량이 낮은 채권은 피하는 것이 좋다.
 

 

▼[1545] 장내채권 현재가

채권 매수 전 최근 거래된 체결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체결가는 현재 채권을 사거나 팔 때 예상되는 가격대를 알려주어,

적정 매수/매도 가격을 결정 할 수 있다.

 

 

 

▼ [1546] 장내 채권 거래량 상위 화면에서 수익률이 높은 채권 종목을 클릭한다.

그러면 [1545] 장내채권 현재가에서 채권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우리가 여기서 주의 깊게 확인해야할 것은

이자 종류, 표면금리, 신용등급, 이자지급주기, 상환일, 잔존기간, 체결가이다.

 

채권 투자 시 위의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투자 리스크를 줄이고, 예상 수익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 이자 종류: 이표채(일정 기간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 복리채(이자가 지급되지 않고 재투자되어 만기에 복리로 지급)
  • 표면금리: 채권이 지급하는 이자의 비율로, 투자 수익률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 신용등급: 발행자의 부도 위험을 평가하여 안정성을 판단. (나는 A등급 이상의 채권에만 투자한다)
  • 이자 지급 주기: 이자가 언제 지급되는지 알아야 현금 흐름을 계획 가능.(3개월, 6개월, 12개월 등 이자 지급)
  • 상환일: 원금을 돌려받는 날짜로, 투자 기간과 계획에 맞는지 확인.
  • 잔존기간: 만기까지 남은 기간으로, 금리 변화에 따른 채권 가격 변동성을 예측.
  • 체결가 : 최근 매수 또는 매도된 채권 가격

 

 

< 표면금리와 시장금리의 관계 >

표면금리가 채권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시장금리와 비교할 때 이해할 수 있다.

  • 표면금리 > 시장금리 → 채권의 인기가 많아져서 채권의 가격이 상승한다.
  • 표면금리 < 시장금리 → 채권의 인기가 없어져서 채권의 가격이 하락한다.

 

예를 들어,

표면금리 3%인 채권을 샀는데 시장금리가 5%로 상승하면,

투자자들은 3% 이자를 주는 채권보다 5% 이자를 주는 새 채권을 더 선호한다.

따라서 3% 채권의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

 

▼시장금리 추이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3

 

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금융위원회, 금융시장분석과, 02-2100-2856 최근 갱신일 :   2025-02-28(입력예정일 : 2025-03-31) 자료 출처 :   한국은행『금융시장동향』(매월) 공표 주기 :   매월

www.index.go.kr

 

 

 

 

< 표면금리와 신용등급의 관계 >

  • 신용등급이 높으면, 표면금리는 낮다.

AAA(최고 신용등급) 채권부도 위험이 거의 없으므로 낮은 표면금리로도 투자자가 많이 찾는다.

 

  • 신용등급이 낮으면, 표면금리는 높다.

BBB 이하(투기등급) 채권부도 위험이 높아 투자자를 유인하기 위해 높은 표면금리를 제공한다.

 

 

< 잔존기간과 채권 가격의 관계 >

  • 잔존 기간이 길면 금리 변화에 민감해진다.

→ 시장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 시장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

 

  • 잔존 기간이 짧으면 금리 변화에 덜 민감해진다.

→ 시장금리가 오르거나 내리면, 채권 가격 변동폭이 작다.

→ 하지만 채권 매수 가격이 높으면 여전히 손해를 볼 수 있다.

 

 

< 잔존기간이 짧은 채권의 매수 가격이 높을 때 >

잔존 기간이 짧을 경우, 매수 가격이 액면가보다 높으면 만기시 손해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 표면금리: 7%
  • 잔존기간: 30일
  • 매수 단가: 15,000원
  • 매매 수량: 1,000개
  • 매수 금액 : 1,500,000원
  • 상환금액(원금): 1,000,000원

 

30일 후, 상환금액 1,000,000원과 이자 일부를 받지만,

매수 금액 15,000,000원보다 적어 손해를 본다.

 

 

 

 

 


채권 검색 방법


찾기 버튼(돋보기)을 클릭해서 채권을 찾거나 [1546] 장내채권 거래량 상위에서 채권을 찾아도된다.

 

 

 

 

 


채권 매수 방법


① 검색한 채권의 정보를 먼저 확인한다.

② 거래되고 있는 채권의 매수, 매도 단가를 확인한다.

③ [1541] 채권가상매매 화면에서 '상환'을 클릭한다.

매수단가와 매매수량을 입력한다.

⑤ 매수 금액을 확인한다.

⑥ 수익률을 확인한다.

⑦ 수량, 단가 입력 후 매수를 클릭한다.

 

 

 

▼매수가 체결되면 [1549] 화면 '잔고'에 채권 종목이 표시된다.

 

https://dongjinc.tistory.com/371

 

[ 채권 기초 ] 1. 채권의 정의, 적금과의 차이

채권의 정의 채권은 정부, 기업, 금융기관 등이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이다.더 쉽게말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증서'이다.내가 채권을 매수할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dongjinc.tistory.com

 

https://dongjinc.tistory.com/372

 

[ 채권 기초 ] 2. 채권의 종류, 표면금리, 이자지급주기

발행 주체에 따른 채권 종류 채권은 발행 주체에 따라 크게 국채, 공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여전채 등으로 나뉜다.채권의 안정성은 발행 주체의 신용도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국채,

dongjinc.tistory.com

 

https://dongjinc.tistory.com/373

 

[ 채권 기초 ] 3. 채권의 콜(CALL) 옵션과 풋(PUT) 옵션

채권에는 콜(CALL) 옵션과 풋(PUT) 옵션이 있다.이 옵션은 수익률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꼭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콜(CALL) 옵션 - 발행자의 조기상환 권리콜 옵션은 채권 발행자(회사)가 상환일 전

dongjinc.tistory.com

 

https://dongjinc.tistory.com/374

 

[ 채권 기초 ] 4. 기업의 신용등급, 연간부도율, 평균누적부도율

기업의 신용등급 기업의 신용등급은 기업이 '부도'날 가능성을 평가해 신용 위험 수준을 나눈 뒤, 비슷한 위험도를 가진 기업들을 같은 등급으로 표시한 지표이다. 부도- 아래 두 사건 중 하나

dongjinc.tistory.com

 

https://dongjinc.tistory.com/375

 

[ 채권 기초 ] 5. 실전 투자 - 키움 HTS를 활용한 채권 매수

키움 HTS 화면 구성 키움 HTS에서 채권 매수, 매도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해보자. ▼키움 HTS를 실행 한 후 왼쪽 상단에서 화면 번호를 입력하거나, 'ELS/ELB/채권' 탭에서 장내채권의 [1545], [1549], [1541

dongjinc.tistory.com

 

 

반응형